○ 인천시사회서비스원이 직접 운영하는 종합재가센터를 지역돌봄센터로 확대해 돌봄사각지대를 발굴·지원하는 공공돌봄의 중심 역할을 해야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 인천시사회서비스원은 최근 온라인으로 마련한 복지사각지대 발굴과 돌봄 중심 대안을 모색하는 ‘인천시민의 미래, 돌봄을 말하다’ 두 번째 연속토론회에서 발제를 맡은 홍선미 한신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돌봄사각지대 발굴·지원 방안으로 지역돌봄센터 설치를 기반으로 한 공공복지 플랫폼의 역할 강화를 강조했다고 27일 밝혔다.
○ 종합재가센터는 방문요양, 가사간병서비스,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 긴급·틈새돌봄 등 재가 돌봄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설로 인천은 부평구와 강화군에 각각 한 곳씩 설치했다.
○ 홍 교수는 “지역단위에서 돌봄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공공 서비스 연계와 관리 업무 등의 수요는 급격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한다”며 “종합재가센터는 민간돌봄 시장과 차별화한 공공돌봄 수행기관으로 돌봄서비스의 계획을 세우고 체계적인 지원이 가능하도록 하는 돌봄 매니지먼트 기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이어“민간과 경쟁으로 수익 창출 구조를 개선하는 전략보다 공적 돌봄 욕구에 대응하기 위한 지역사회 통합돌봄 파트너십 기관으로 재구조화할 필요가 있다”며 “종합재가센터와 민간기관이 각자 역할을 찾고 나눠 함께 가는 체계를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 발제문 발표 다음으로 이영휘 인하대 간호학과 교수가 좌장을 맡아‘공공돌봄센터 활성화의 길을 온(ON)하다’를 주제로 토론이 이어졌다. 배영준 부평종합재가센터 센터장 직무대리는 민간기피 대상 서비스 제공, 긴급틈새돌봄서비스 확대에 더해 민간기피사업과 단기보호, 정신·발달장애인 지원서비스 등 영역을 확장하는 방안을 제안했다.
○ 배 센터장 직무대리는 “종합재가센터는 지역사회통합 돌봄서비스의 직접 서비스 제공자인 동시에 통합돌봄 허브로 역할을 해야 한다”며 “실질적인 종사자 처우개선과 전문성 강화, 이를 토한 서비스 질 향상을 기본으로 누구나, 언제나, 필요할 때, 정확한 도움을 줄 수 있는 센터로 자리잡아야 한다”고 말했다.
○ 두 번째 발표를 맡은 김춘남 경기복지재단 연구위원은 다른 대안을 제시했다. 지역돌봄(재가) 케어매니저 제도와 노인맞춤돌봄 확대 및 보건, 의료, 복지 연계사업 추진 등을 제안했다.
○ 케어매니저는 일본이 도입한 제도로 직접 서비스 제공보다는 케어 플랜을 세우고 욕구를 파악해 서비스와 연계하고 모니터링하는 작업을 맡는다. 김 위원은 “5년 이상 현장경험과 관련 학과를 이수하는 등 경험이 있는 이들을 인력풀로 활용할 수 있다”며 “지방자치단체장이 발급하는 자격증 제도 도입 등으로 지역돌봄(재가) 케어메니저 직종 창출도 가능하다”고 말했다.
○ 마지막 토론을 맡은 김태진 서구재가노인지원서비스센터장은 “이용자 중복을 이유로 한 개의 기관에서만 서비스를 제공받는 것이 일반적인데 각 기관 간 서비스 칸막이를 없애고 이용자 중복을 허용하면 사람들의 욕구나 문제를 해소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며 “인천시사회서비스가 제공하는 긴급틈새돌봄서비스, 대체인력지원, 장기요양요원지원 등 체계를 넘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데 이것이 곧 공공돌봄을 실현해 가는 것이다”고 말했다.
○ ‘인천시민의 미래, 돌봄을 말하다’ 연속토론회 세 번째 시간은‘민·관 협력의 길을 온(ON)하다’를 주제로 다음 달 2일 오후 2시~4시 인천시사회서비스원 유튜브 채널 라이브에서 만나볼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