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광역시(시장 유정복)가 2026년도 국비 목표액 6조 5,000억 원 달성을 위한 본격적인 활동에 돌입했다.
인천시는 20일 시청 영상회의실에서 하병필 행정부시장과 황효진 글로벌도시정무부시장 공동 주재로 ‘글로벌 톱텐 시티, 인천(Global Top 10 City, Incheon)’ 실현을 위한 2026년도 국비 확보 보고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시는 정부의 건전재정 운용 기조 속에서도 전년도 목표 대비 3,100억 원이 증액된 국고보조사업 5조 6,000억 원과 보통교부세 9,000억 원을 포함해 총 6조 5,000억 원 이상의 국비를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날 보고된 2026년 신규사업은 총 26개 사업으로, 국비 2,409억 원 이상을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주요 사업으로는 ▲문화산단 조성(68억 원) ▲인천형 출생정책 ‘아이( ) 플러스 1억드림’ 국가정책 전환(820억 원) ▲K-패스 환급금 지원 기준 변경(223억 원) ▲인천 소상공인 반값택배 지원(42억 원) ▲북(北) 소음방송 피해 지원(130억 원) ▲지역암센터 장비비 지원(12억 원) 등이 포함됐다.
또한, 인천시는 주요 현안사업 53건에 대해 총 1조 363억 원의 국비를 확보할 계획이다. 주요 사업으로는 ▲서울도시철도 7호선 청라국제도시 연장(1,605억 원) ▲인천발 KTX(500억 원)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B)(2,826억 원) ▲인천신항 진입도로 지하차도 건설(74억 원) ▲부평ㆍ주안 국가산업단지 재생(44억 원) 등이 포함됐다.
아울러, 정부 예산 추경 편성이 가시화됨에 따라 추가적으로 15건, 총 628억 원의 국비 확보를 위해 적극적으로 나설 계획이다. 주요 사업으로는 ▲인천상륙작전 기념주간 행사(17억 원) ▲2025 APEC 국제회의 인프라 개선(16억 원) ▲수소버스 공차 운행 연료비 지원(12억 원) ▲경인고속도로 연장 및 지하화(10억 원) 등이 있다.
시는 2026년도 국비 확보 매뉴얼을 제작ㆍ배포해 정부 예산 편성 과정부터 국회 예산심의까지 단계별 체계적인 대응 전략을 마련하고, 목표 이상의 국비를 확보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할 예정이다.
하병필 행정부시장은 “대내외적 경기 불확실성 확대로 어려움을 겪는 시민들의 일상을 회복하기 위해 지방재정의 역할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한 시기”라며 “중앙부처 및 지역 국회의원과의 협력을 강화하고, 네트워크를 확대해 2025년 추경 및 2026년 국비 확보에 총력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한편, 인천시는 신규사업의 추가 발굴과 국비 확보 대응 방안을 보완하고, 계속사업의 추진 상황을 점검하기 위해 국비 신청 마감 기한인 오는 4월 말까지 매월 국비 보고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