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일상적으로 장애인에게 쓰는 이면에는 차별적인 의미를 담고 있는 장애인 비하 용어들이 있어 잘 사용하기 바라는 마음으로 모아봤다.
* 정신지체 (X) → 지적장애 (O)
'정신지체'(mental retardation)는 'retard'(지연시키다, 모자라다)는 의미를 담고 있기 때문이다.
1989년 장애인복지법이 개정되면서부터 '정신지체' 용어가 사용됐으나, 교육부는 2월 3일부터 부정적인 인식을 반영하는 '정신지체' 대신 '지적장애'를 사용하기로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일부 개정안 공포·시행했다.
교육부는 17개 시도 교육청에 "정신지체 학생 대신 지적장애 학생이라고 하라"는 공문을 보낸바 있다 (동아일보)
또한 장애우는 장애인을 타자화시키는 것이다.
누구의 친구라고 불리는 게 아니라 존재를 분명히 밝히고 장애를 가진 사람으로서의 정체성을 가지기 위해서는 '장애우'가 아니라 '장애인'으로 불려야 한다
* 장애자, 장애우 (X) → 장애인 (O)
* 간질병자 (X) → 뇌전증환자 (O)
* 불구자 (X) → 신체장애인 (O)
* 병신, 앉은뱅이, 외팔이, 난쟁이, 절름발이, 불구 (X) → 지체장애인 (O)
* 장님, 소경, 애꾸눈, 외눈박이. 사팔뜨기 (X) → 시각장애인 (O)
* 귀머거리, 벙어리 (X) → 청각장애인 (O)
장애인 단체인 장애인정보문화누리는 2013년 100여 개 언론매체 기사를 모니터링한 적이 있는데, 차별적 용어를 사용한 언론 기사는 총 2183건 발견됐다.
그리고 모니터링에 참여한 회원 대부분이 "부적절한 용어사용으로 수치심을 느끼거나 차별을 받았다"고 말했다.(복지뉴스) |